20층 이상의 고층거주자 및 건물 특성상 사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관리소에 엘리베이터를 예약한다. (전, 후주소 모두 포함)
각종 우편물 주소변경을 한다.
우체국에 주소 이전 신청한다. (신분증 지참 직접 방문, 또는 우체국 홈페이지 접수 - 공인인증서 필요 3개월 무료 서비스)
전화 및 인터넷 이전 신청한다. (고객센터 KT: 100, SK: 106, LG: 1644-7000)
수도료 납부 확인한다.
전기료 납부 확인한다.
기타 공과금 납부 확인한다.
관리소에 이사날짜 통보 및 관리납부내용 발급예약한다.
신문 및 우유 배달 중지요청을 한다.
기타 잡지 및 정기구독물 배당 중지 혹은 주소변경한다.
케이블/유선방송, 위성안테나 이전 혹은 중지요청한다.
도시가스분리 예약한다 당일 9~10시 분리예약, 설치는 오후4시 정도
세탁소에 맡긴 세탁물 점검한다.
이사갈 집을 방문해 도면을 그려온다.(전기콘센트 및 창문위치를 반드시 표기한다)
가구 배치도를 작성한다.
이사 2~3일전
이사갈 집을 청소한다.
이사업체에 일정을 재확인한다.
이사 전날
귀중품, 현금, 유가증권 등 분실우려되는 물품은 개별포장 후 별도보관한다.
귀중품, 계약서, 인감도장, 등기권리증, 통장 등은 이삿짐과 별도로 관리한다.
중개수수료, 잔금을 준비한다.
냉장고의 남은 음식을 처리한다.
대형쓰레기봉투(50리터이상) 2~3장 준비한다. (전, 후주소)
간단한 세면도구 및 식기 별도보관한다.
간단한 청소도구 (고무장갑, 걸레, 행주, 세제 등)를 따로 챙겨놓는다.
이삿날
관리소에서 관리비 납부 내역 확인서를 받는다.
수도사무국에서 수도료 확인(전화로 가능) 이사나올 때 정산한다.
출발 전 빼놓은 물건이 없는지 확인한다.
이삿짐 반입 확인한다.
이사 최종점검을 한 후 이사비용을 정산한다.
이사후
이사 후 14일 이내 동사무소에 전입신고 한다. 이사 전 미리 신고가능함.
(세대주는 신분증 지참후 방문, 대리시는 <전입신고증> 세대주 직접 작성 후 가족 중 성년인 사람의 신분증, 세대주 신분증 지참 후 방문)
지역의료보험 신고 (동사무소)
주택임대차 계약 확정일자를 받는다. (주택임대차 계약서 지참 : 동사무소)
시, 도가 변경된 주소 이전시 자동차 등록 이전은 관할차량등록사업소에서 검사증, 도장, 주민등록증, 차량을 같이 가지고가 변경신청한다.
전학수속을 한다.
- 초등학생 자녀는 새 거주지의 동사무소에서 (취학아동 전입 통지서)를 받아 해당학교로 찾아가 전학시킨다.
- 중학생은 학생의 거주지 변경내역이 기재된 주민등록등본 및 전학용 재학 증명서 각 1부를 떼어 해당지역 교육청에 제출해 학교를 배정받아 전학시킨다.
- 고등학생은 배정원서 작성 및 관련서류(학생의 거주지 변경내역이 기재된 주민등록등본 및 주민등록초본 각 1부)를 재학학교(서울시내만 해당)에 제출한다.
타도시로 전학 시 해당지역 교육청에 제출해 학교를 배정받아 전학시킨다.